안녕하세요. 구담입니다.
오늘은 Playstation4의 내장 디스크를 SSD로 교체한 덕분에 생긴 여분의 HDD로 외장하드를 만들어 보려고 합니다. 본 글은 PC(Window10)에서 진행한 작업을 정리한 내용인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Mac에서의 작업 내용은 포함하고 있지 않습니다.
0. 준비물
- PC(Window10)
- 2.5형 HDD
- 2.5형 외장하드 케이스
1. HDD와 외장하드 조립
먼저 HDD와 외장하드 케이스를 조립합니다. 이후 외장하드를 PC에 연결합니다.
외장하드를 연결했지만, 내 PC에 들어가도 외장하드의 드라이브가 보이지 않습니다. 당황하지 말고 '내 PC > 컴퓨터 관리 > 저장소 > 디스크 관리'에 들어갑니다. 그럼 위 이미지처럼 파티션이 세분화된 디스크가 보일 겁니다. 이 파티션을 단일화하고 PC에서 인식 가능한 형태로 포맷하는 작업이 이번 글에서 하는 작업입니다.
2. 명령 프롬프트(CMD) 실행 및 Disk Part 모드 진입
외장하드로 이용 가능할 수 있는 디스크로 만들기 위해 명령어로 디스크 파티션을 조작하고 수정할 수 있는 Disk Part 모드를 이용할 것입니다. 명령 프롬프트 실행 후 Disk Part 모드에 진입해 봅시다.
작업표시줄의 시작 > 프로그램 및 파일 검색(또는 Window 검색) 창에 'CMD'를 입력하고 명령 프롬프트를 오른쪽 클릭해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합니다.
CMD 창이 실행됩니다.
'C:₩WINDOW₩system32>' 뒤에 'diskpart'를 입력하고 엔터를 칩니다. 맨 마지막에 'DISKPART>'가 노출되면 정상적으로 Disk Part 모드에 진입한 것입니다.
3. 디스크 파티션 초기화
세분화된 디스크 파티션을 하나의 파티션으로 정리하기 위해 우선 디스크의 파티션을 모두 초기화해야 합니다.
'DISKPART>' 뒤에 'list disk'를 입력하고 엔터를 칩니다. 그럼 디스크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Select Disk' 명령어를 통해 초기화할 디스크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 디스크 2번이 외장하드 입니다. 따라서 'select disk 2'를 입력하고 엔터를 칩니다. 디스크 2번이 선택됩니다.
다음으로 'list partition'을 입력하고 엔터를 쳐 파티션 정보를 확인합니다. 아까 디스크 관리에서 확인한 세분화된 파티션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clean'을 입력하고 엔터를 칩니다. 선택된 디스크 2번의 파티션이 모두 초기화됩니다.
다시 'list partition'을 입력하고 엔터를 쳐 정상적으로 파티션이 초기화되었는지 확인합니다. 정상적으로 초기화 되었다면 위 이미지처럼 '이 디스크에 표시할 파티션이 없습니다.'라고 표시됩니다.
4. 디스크 파티션 생성
디스크에 단일화된 새로운 파티션을 생성합니다.
'list disk'를 입력하고 엔터를 쳐 디스크 목록을 확인합니다. 앞서 디스크 파티션을 초기화했기 때문에 디스크 2번의 사용 가능한 용량이 '0 GB'에서 '465 GB'로 늘어난 것이 보일 겁니다.
'select disk 2'를 입력하고 엔터를 칩니다. 디스크 2번이 선택됩니다.
'list partition'을 입력하고 엔터를 칩니다. 마지막으로 파티션이 없는 것을 확인합니다.
'create partition primary'를 입력하고 엔터를 칩니다. 이용 가능한 전체 용량 크기의 주 파티션을 1개가 생성됩니다.
'list partition'을 입력하고 엔터를 치면 생성된 파티션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5. 디스크 파티션 포맷
생성한 파티션을 포맷하고 파일 시스템을 PC에서 사용 가능한 유형으로 설정합니다.
'format fs=ntfs quick'을 입력하고 엔터를 칩니다. 현재 선택된 디스크 2번의 파티션을 NTFS로 빠른 포맷합니다. 정상적으로 포맷이 완료되면 위 이미지와 같이 'DiskPart가 볼륨을 성공적으로 포맷했습니다.'라고 표시됩니다.
6. 파티션(드라이브) 문자 할당
생성한 파티션에 드라이브명(문자)를 할당합니다.
'assign letter='과 원하는 알파벳을 입력하고 엔터를 칩니다. 입력한 알파벳이 드라이브명으로 할당됩니다. 저는 'assign letter=v'로 입력해 'V'를 드라이브명으로 만들었습니다.
7. Disk Part 모드 종료 및 디스크 확인
모든 작업을 완료했으므로 'exit'를 입력하고 엔터를 쳐서 Disk Part 모드를 종료합니다. 명령 프롬프트(DMC) 창도 닫아줍니다.
'내 PC > 컴퓨터 관리 > 저장소 > 디스크 관리'에 들어가면 'V'라는 드라이브명의 단일화된 NTFS 파티션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 작업 전에 내 PC에서 노출되지 않았던 외장하드의 드라이브가 이제 V 드라이브로 노출되는 것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8. 마무리
외장하드 만들기는 이것으로 끝입니다. 이제 정상적으로 인식되는 외장하드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부디 여러분에게도 도움이 되었길 바래 봅니다. 감사합니다.
'게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troArch] iPhone(iOS)으로 레트로 게임기 만드는 방법 (0) | 2025.01.11 |
---|---|
[NS] '에러가 발생하여 소프트웨어를 종료했습니다.' 해결 방법 (0) | 2025.01.05 |
[PS4] 내장 디스크 SSD 교체 방법 (0) | 2025.01.05 |